- 세그먼트 트리
- CodeForces
- Dynamic Programming
- hhs2003
- 백준
- 오일러투어트리
- fortune's algorithm
- Delaunay triangulation
- solved.ac
- BOJ 30026
- 알고리즘
- dx dy
- 2025acpc
- 2023 Engineering Pair
- voronoi diagram
- BOJ 30029
- 27173
- boj23054
- BOJ 30027
- BOJ17139
- 수열과 쿼리 43
- BOJ 31226
- 컴퓨터융합학부
- 누텔라트리(hard)
- boj 30788
- 충남대학교 2023 SW - IT
- BOJ 30028
- 느리게 갱신되는 세그먼트 트리
- 2023 SW - IT Contest
- 27114
목록CodeForces (2)
알고리즘 일지

문제 링크 Problem - D - Codeforces 문제 풀이 마지막 포스팅 이후, 2개월 만에 문제풀이를 쓰는 것 같다. 오랜만에 코드포스도 쳤겠다... 요즘 저조한 퍼포먼스로 초심을 되찾고자 업솔빙 포스팅을 자세하게 적어보고자 한다. 대회 중부터 쭉 붙잡다가 2 시간 걸려서 푼 문제다. 이 글에 적은 풀이보다 더 쉬운 방법은, 조건에 맞지 않는 부분배열 B를 찾는 것이다. 하지만, 대회 때는 조건에 맞는 부분배열 B를 모두 찾는 것에 혈안이 되어, 이 부분을 놓치게 되었다. 문제. 배열 $A = [a_1, a_2, \cdots , a_N]$ 이 주어질 때, 배열 A의 부분배열 B가 다음을 만족할 때, 부분 배열 B의 개수를 찾아라. 부분배열의 크기를 $m$이라고 하자. A의 정렬 된 부분배열 B..

더 좋은 퀄리티를 위해 글의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. 며칠 동안, Fortune's Algorithm에 관한 글들을 찾아 읽으며, 원리와 그 작동방식.. 그리고 심각한 부동소수점의 오차 때문에 엄청 고생했다... 제일 답답했던 점은, 내 검색 엔진이 이상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상하게만치, Fortune's Algorithm에 구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있는 곳이 별로 없다는 것이었다. 물론 Fortune's Algorithm이 구현부가 굉장히 난해하고, 하나하나 짚고 넘어가면, 엄청나게 설명해야 할 것이 많기 때문에 웬만한 연산에 대해, 설명을 생략하는 글들이 대부분이었다... 무튼, 그래서... Fortune's Algorithm이 뭐냐...?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(들로네 삼각분할)을 O(NlogN)..